카피킬러_블로그_포스팅_시작_이미지_문장부호3.png



안녕하세요. 카피킬러입니다.

​이번 헷갈리는 문장부호 3탄에서는
가운뎃점(ㆍ), 쌍점(:), 빗금(/), 줄표(― ), 붙임표(-), 물결표(~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
선.png



가운뎃점(ㆍ)

1.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

어구들을 낱낱으로 열거하지 않고 일정한 기준에 따라 묶어서 나타낼 때
묶음 사이에는 쉼표를, 같은 묶음에 속한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사용합니다.

​[예시]
시의 종류는 내용에 따라 서정시ㆍ서사시ㆍ극시, 형식에 따라 자유시ㆍ정형시ㆍ산문시로 나눌 수 있다.

2.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

짝을 이룬다는 것은 각각의 어구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전체 집합의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는 뜻입니다.
이렇게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.

각 어구를 하나의 단위로 뭉쳐서 나타내고자 할 때는 가운뎃점을 쓰고,
각 어구를 낱낱으로 풀어서 열거하고자 할 때는 쉼표를 쓰거나 부호를 아예 생략할 수 있습니다.

[예시]
곤충의 몸은 머리ㆍ가슴ㆍ배로 구분할 수 있다.
우리나라의 바다에는 동해ㆍ서해ㆍ남해가 있다.
표절 검사 후 수정ㆍ보완하여 제출하였다.

3.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

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는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.

‘금메달, 은메달, 동메달’에서 공통 성분은 ‘메달’입니다.
이 부분을 반복하지 않고 줄여서 하나의 어절로 묶어서 나타낼 때는
‘금ㆍ은ㆍ동메달’과 같이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고, ‘금, 은, 동메달’과 같이 쉼표를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.

[예시]
상ㆍ중ㆍ하위권
금ㆍ은ㆍ동메달
통권 제54ㆍ55ㆍ56호

공통 성분이 줄어서 하나의 어구로 묶인 말 중에는 한 단어로 굳어진 말이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‘검인정(검정+인정), 논밭일(논일+밭일), 민형사(민사+형사), 선후배(선배+후배), 직간접(직접+간접)’ 등이 있는데요.
한 단어로 굳어진 말에는 가운뎃점이나 쉼표를 쓰지 않습니다.
점선.png

쌍점(:)

1.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

표제에 해당하는 항목을 열거하여 보이거나 표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붙일 때 표제 다음에 쌍점을 사용합니다.

​[예시]
문장 부호: 마침표, 물음표, 느낌표, 쉼표 등
일시: 2014년 10월 9일 10시
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. (예: 남궁, 선우, 황보)

​2.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

​희곡이나 시나리오 등에서 등장인물의 대화 내용을 나타낼 때
등장인물의 이름과 대화 내용 사이에 쌍점을 사용합니다.
[예시]
교수: 표절했기 때문에 자네 성적은 F일세.
학생: 교수님, 제발 제 말 좀 들어 보세요!

3. 시와 분,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

시ㆍ분ㆍ초, 권ㆍ장ㆍ절, 조ㆍ항ㆍ호 등을 구별할 때 쌍점을 사용합니다.

[예시]
「국어기본법」 14:1(제14조 제1항)
해 뜨는 시각 7:10:54(7시 10분 54초)
오전 10:20(오전 10시 20분)

4. 의존 명사 ‘대’가 쓰일 자리에

의존 명사 ‘대’가 쓰일 자리에 ‘대’ 대신 쌍점을 쓸 수 있습니다.

[예시]
65:60(65 대 60)
한국과 미국은 0:0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.

점선.png


빗금(/)

1.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

둘 이상의 어구를 서로 대비해서 보이고자 할 때는 빗금을 사용합니다.
일반적으로 상위어 또는 상위 개념이 같으면서도 개념상 대비가 되는 어구들을 하나로 묶어서 나타낼 때 빗금을 사용합니다.
따라서 굳이 대비해서 보일 필요가 없을 때는 쉼표를 써도 됩니다.

[예시]
남반구/북반구
금메달/은메달/동메달
반짝이다/반짝거리다/반짝반짝하다
물/불/풀/뿔

2.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

‘1,000원/개’는 ‘한 개에 1,000원’이라는 뜻입니다.
이처럼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해당 수량과 기준 단위 사이에 빗금을 씁니다.

[예시]
놀이공원 입장료는 4,000원/명이다.

3.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

연이 바뀜을 나타낼 때는 두 번 겹쳐 사용합니다.

[예시]
산에는 꽃 피네 / 꽃이 피네 / 갈 봄 여름 없이 / 꽃이 피네 // 산에 / 산에 / 피는 꽃은 /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

점선.png


줄표(―)

제목 다음에 표시하는 부제의 앞뒤에 사용합니다.

[예시]
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‘역사 바로잡기―근대의 설정― ’이다.
‘환경 보호―숲 가꾸기―’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.

​다만, 뒤에 오는 줄표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.

이번 토론회의 제목은 ‘역사 바로잡기―근대의 설정’이다.
‘환경 보호―숲 가꾸기’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했다.

​​
점선.png


붙임표(-)

​1.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

단순히 열거만 하고자 할 때는 붙임표 대신 쉼표를 쓸 수도 있습니다.

[예시]
우리말 어순은 주어-목적어-서술어가 기본이고 영어 어순은 주어-서술어-목적어가 기본이다.
이 논문은 서론-본론-결론을 통일성 있게 잘 쓴 글이다.

2. 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

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붙임표를 씁니다.
때에 따라서는 붙임표 대신 쉼표나 가운뎃점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

​[예시]
드디어 서울-북경의 항로가 열렸다.
원-달러 환율
남한-북한-일본 삼자 관계

점선.png

물결표( ~ ) 

기간이나 거리 또는 범위를 나타낼 때는 물결표를 쓰는 것이 원칙이고, 물결표 대신 붙임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
[예시]
9월 15일~9월 25일
김정희(1786~1856)
서울~천안 정도는 출퇴근이 가능하다.
이번 시험의 범위는 3~78쪽입니다.



선.png

​출처: 국립국어원